본문 바로가기
기업별 직무탐색

KALMAN 대한항공 [일반/기술/운항/객실/전산/시설] 직무소개

by GORANG 2022. 11. 1.

일반직


◎ 전략지원
· 기획, 인사, 국제업무, 법무, 노무, 회계, SkyTeam, 국제금융 등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정책을 수립하고 각 본부(여객사업, 화물사업, 항공우주사업, 기내식기판사업, 객실승무, 운항승무, 정비 등)를 지원

 여객부문
1)여객영업/MARKETING
· 항공협정, 상무협정, 항공사간 제휴 등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거나, 노선운영에 대한 기본 전략을 수립하고, 이에 따른 지역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국낸외 지점에서의 영업활동 지원

2)여객예약/발권/판매
· 국내외 각 지점에서 항공편에 대한 예약접수 및 항공여행관련 종합정보서비스 제공
· 여행사에 대한 판매지원 등 대고객 서비스 업무와 노선영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 제공

3)여객운송
· 국내외 공항에서 승객의 항공기 BOARDINGD을 위한 탑승수속, 수하물 관련 업무 등 대고객 서비스 업무와 여객운송 서비스 항상 전략 수립 및 진행

 화물부문
1)화물영업/MARKETING
· 화물기 노선운명, 신상품 개발, 마케팅 계획 등 화물사업 전반에 관한 전략 수립 및 영업활동 지원

2)화물예약/판매
· 국내외 각지점에 대한 화물예약 접수, 항공화물 대리점에 대한 판매업무 및 업계와 시장의 동향 등 노선운영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 제공

3)화물운송
· 국내외에서 공항에서 항공화물 수송을 위한 조업사 관리, 특수화물 수송, 탑재관리(LOAD CONTROL) 등 제반 지원업무와 함께 화물운송 서비스 향상 전략 수립 및 집행

 운항관리
· 종합통제센터와 국내외 공항에서 운항정보(취항공항 현황, 기상자료 등)를 수집/분석하여 항공기 운항여부 결정
· 비행계획(운항항로, 고도, 비행시간, 탑재연료 등)을 수립하여 조종사에게 제공
· 안전운항을 위해서 비행중인 항공기를 MONITORING하면서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


기술직


 항공기술직
1)기획부문
· 항공기 기술지원, 본부의 장단기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, 연간 항공기 생산계획 수립 및 실적분석, 생산성 목표설정 및 실적분석 등 전반적인 기술지원 본부 운영 방향을 결정하고 정책 수립

2)기술부문
· 항공기, 원동기(ENGINE) 및 부분품(COMPONENT) 기술지원방식을 수립 및 지시
· 현장 부서에서의 기술지원 업무수행을 위한 WORX CARD 제정 등 각종 기술개발에 관하여 검토 및 연구

3)품질보증부문
· 항공기 작업 수행 결과 MONITORING, 사고/지연/결항 원인조사 및 방지대핵 수립 등을 통한 품질보증(QUALITY ASSURANCE) 및 신뢰성 관리
· 항공기 감항검사(AIRWORTHNESS) 관련 대관 업무

4)훈련부문
· 항공기 기술지원 업무 수행을 위하여 기술자격 취득 교육훈련 운영방침 및 기준을 수립하고, 현장 작업자 기술교육 실시 등의 기술지원본부 교육훈련제도 연구 개발

 항공우주직
1)관리부문
· 민항기 부품생산과 군용기 정비를 위한 본부의 장단기 사업 기획 및 영업, 사업 집행관리 세부 생산계획 수립
· 진척관리, 인적자원관리, 보급관리 등 전반적인 생산 및 RESOURCE(MAN, MACHINE, MATERIAL, METHOD)를 운영, 관리

2)기술부문
· 민항기 부품생산과 군용기정비에 있어서 기술지원방식을 수립 및 지시하여 부서에서의 기술지원 업무 수행을 위한 작업공정서를 작성 및 개정
· 신규공정을 개발 및 설계하고, 기술변경에 따른 형상관리, 각종 기술개발에 관한 검토 및 연구

3)품질부문
· 품질 계약조건, 고객 요구사항,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등을 검토하여 품질/검사시스템을 계획하고 품질계획서 작성
· 항공기 부품생산 및 군용기 정비 수행 결과를 MOTORING하고, 품질결함 원인 조사 및 방지대책 수립 등을 통하여 품질보증(QUALITY ASSURANCE)과 품질개선

4)연구부문
· 첨단 기술 선도형 유/무인항공기, 우주발사체 및 위성채, 항공기 성능 개량/개조 분야를 연구개발
· 비행체공력, 비행제어, 항공전자, 기체구조의 설계/해석 및 체계 종합, 시험평가


운항승무직


· 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기장 또는 부조종사의 임무 수행
· 기장은 비행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항공기, 승객, 승무원, 화물의 안전에 대해 최종적인 권한과 책임을 가지며, 부조종사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이 될 수 있도록 기장을 보좌하거나 대행


객실승무직


· 비행전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며, 객실 매 비상장비, 의료장비 및 서비스 용품 탑재 등을 점검
·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해 기장과 협조하여 운항중의 승객 안전과 쾌적한 비행 환경을 조성, 유지
· 기내의 보안장비 점검 및 항공기 보안검색을 하며, 기내수하물 탑재상황을 파악하고 승객에게 안전브리핑 실시
· 좌석안내, 기내방송, 식사 및 음료제공, 입국관련 서류점검, 기내 면세품 판매 등 승객의 편안한 여행을 위한 서비스 제공


전산직


· 전사 경영 목표 및 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IT시스템 개발 및 관리
· IT자원 관리 및 Outsourcing 업무에 대한 서비스 관리


시설직


· 전사 경영 목표 및 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물의 신축 및 유지관리
· 부동산의 취득 및 매각, 녹색경영관리

댓글